728x90
반응형
SMALL

JavaScript 25

JavaScript - 매개변수 패턴

// 매개변수 패턴// 기본값(Default value)function sum(a,b) {  return a + b}console.log(sum (1,2)) // 3console.log(sum(7)) // 7 + undefined = NaN function 함수의 매개변수로 sum함수를 설정하고 콘솔 창에 지정된 값을 대입하여 결과를 연산하여 반환합니다. 이때, 마지막 콘솔 창에 a의 데이터 값만 지정되고 b의 데이터 값은 지정되지 않아 undefined와 숫자 7을 더한 NaN이 출력되게 됩니다.# 기본값// 매개변수 패턴// 기본값(Default value)function sum(a,b = 1) {  return a + b}console.log(sum (1,2)) // 3console.log(sum(..

JavaScript 2024.07.08

JavaScript - 호이스팅(함수 선언과 표현 구분)

// 함수 선언문(Declaration)function hello ( ) {}// 함수 표현식(Expression)const hello = function () {}// 호이스팅(Hoisting) - 함수 선언부가 유효범위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지는 현상 / 함수 선언문에서만 사용가능, 표현식 x # 함수 선언문// 호이스팅(Hoisting)hello();function hello() {  console.log("Hello~");} 함수가 선언이 아래쪽에 있지만 함수 선언을 할 때 작성한 선언문을 함수 선언문에 끌어올려져서 동작하는 것 hello()const world = function world() {  console.log('Hello~')} 이렇게 작성하게 될 경우 함수 표현식에서 기존 함수 명을 h..

JavaScript 2024.07.08

JavaScript - While, Do While 반복문

While 문// While 반복문 -> 조건이 참이면 계속 반복하는 구문let n = 0;while (n 4) {  console.log(n);  n += 1;} while (조건문) { } - 조건문 속 조건이 참일 경우에는 계속하여 조건이 출력됨, 여기서 조건문이 거짓이 될 때까지 { } 객체 데이터 내부 과정은 계속하여 실행됩니다.일반적인 반복문을 사용할 때 사용합니다. (거의 대부분 사용)Do While 문// Do While 반복문let n = 0;while (n) {  console.log(n);} 여기서 숫자 0 값은 조건이 거짓이기에 콘솔 창에는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습니다. // Do While 반복문let n = 0;// while (n) {//   console.log(n);// }..

JavaScript 2024.07.08

JavaScript - For , For of , For in 반복문

For 반복문// For 반복문for (초기화; 조건; 증감) {   반복 실행할 코드 }for (let i = 0; i 10; i++) {  console.log(i);} // For 반복문// for (초기화; 조건; 증감){//   // 반복 실행할 코드// }for (let i = 9; i > -1; i -= 1) {  if (i 4) {    break;  }  console.log(i);} 숫자 9에서부터 시작하여 출력되다가 i가 숫자 4보다 작으면 출력되지 않으므로 콘솔 창에는 9~ 4까지 출력됨 continue 키워드 : 현재 반복을 종료하고 다음 반복으로 넘어감// For 반복문// for (초기화; 조건; 증감){//   // 반복 실행할 코드// }for (let i = 9; i ..

JavaScript 2024.07.07

JavaScript - 선택적 체이닝, if, switch 조건문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 을 사용하여 뒤쪽 내용을 실행시키지 않고 undefined를 반환시키는 것// 선택적 체이닝(Optional Chaining)const user = {}console.log(user?.name) // user 객체 데이터 내부 name 검색 => 출력 : undefined // 선택적 체이닝const userA ={ name: Yonghak, age: 23, address: { country: 'Korea', city : 'Seoul', }}const userB = { name: 'John', age: 24}function getCity(user) { return user.address.city ( undefined - falsy 데이터) ..

JavaScript 2024.07.07

JavaScript - 구조 분해 할당

// 구조 분해 할당const arr = [1, 2, 3];// const a = arr[0];// const b = arr[1];// const c = arr[2];const [a, b, c] = arrconsole.log(a, b, c); 배열에 정해진 값 1,2,3 을 각각의 변수 값을 배열을 a, b, c로 분해하여 할당하는 것 // 구조 분해 할당const arr = [1, 2, 3];const [a, rest] = arr;console.log(a, rest); 이렇게 작성하면 콘솔 창에 1 과 2만 출력됨 배열의 1을 제외한 나머지 전부를 출력하고자 할 때는 전개 연산자를 사용함// 구조 분해 할당const arr = [1, 2, 3];const [a, rest] = arr;console.lo..

JavaScript 2024.07.07

Javascript - 연산자 종류 및 특징

연산자에는 피연산자의 개수에 따라 단항 연산자, 이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로 분류합니다.단항 연산자 - +a이항 연산자 - a + b삼항 연산자 - ?: (Only 이것만 존재) 그룹 연산자 () - 그룹 연산자 ()를 사용하게 되면 계산 순서의 우선 순위가 최우선으로 연산 됩니다. 산술 연산자산술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숫자인 연산자로 피연산자가 숫자가 아닐 때는 연산자가 피연산자 타입을 숫자 타입으로 바꾸어 계산합니다. 이때, 연산 결과로는 숫자 값이 나오지만 숫자로 바꿀 수 없거나 계산할 수 없는 값일 경우에 NaN이 출력됩니다. + : 더하기 / A + B / A와 B를 더한 값- : 빼기 / A - B / A와 B를 뺀 값* : 곱하기 / A * B / A와 B를 곱한 값/ : 나누기 / A / ..

JavaScript 2024.07.03

Javascript - 변수 및 함수의 기초, 배열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변수 타입이 없으므로 변수 선언자는 var 하나만 존재합니다.그렇기에 var 변수 선언자에 모든 데이터 타입의 값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 이때, 쉼표(,)를 사용하면 변수 여러 개를 1개의 문장으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var a,b,c,d,e,f,...a;var a=1,b=2,c=3; ※ 변수 선언 생략 : var 문으로 선언하지 않는 변수 값을 읽으려고 시도하면 참조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그렇기에 꼭 변수 선언(초기화)를 필수로 설정해야 합니다.console.log(X);// RefereneceError : is not defined 변수를 선언(초기화)를 하지 않으면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x = 2; // 변수 선언console.log(x); // 2 변수를 선언(초기화)하면은..

JavaScript 2024.07.03

Javascript 프로그램 기본 작성법

대 소 문자 구분- 자바스크립트 프로그램은 알파벳 대문자와 소문자를 구별합니다. 예를 들어서 알파벳 m 과 알파벳 M은 각기 다른 문자로 취급합니다. 또한 console.log를 Console.log로 작성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참조 오류가 발생합니다.Uncaught ReferenceError: Console is not defined 토큰 :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를 토큰(어휘)라고 합니다.예를 들어, Javascript is powerful 에서 토큰은 각각 Javascript / is / powerful 입니다.공백 문자 - 일반적인 띄어쓰기를 의미합니다. 만약에 return n을 returnn으로 작성하게 되면 이 또한 n을 반환하는 것이 아닌 아무런 값을 반환하지 않는 것이 되므로 오류..

JavaScript 2024.07.03

Javascript - Nullish 병합, 삼항 연산자

// Nullishconst n = 0;const number1 = n || 7;console.log(number1); => 또는 연산자는 조건문에 참 값이 존재하게 되면 왼쪽에서부터 가장 먼저인 참 값을 콘솔 창에 출력하게 됩니다. 이 경우에서는 n은 0이므로 false 값이 되고 7 은 true 값이기에 콘솔 창에는 7이 출력되게 됩니다. // Nullish 병합(Nullish Coalescing)// OR 연산자를 사용한 경우const n = 0;const number1 = n || 7;console.log(number1); // 7// Nullish 병합 연산자를 사용한 경우const num2 = n ?? 7;console.log(num2); // 0 => Nullish 병합 연산자(??)는 왼쪽..

JavaScript 2024.07.02
728x90
반응형
LIST